❏ 유엔 아카데믹 임팩트 한국협의회는 (공동회장 김영길/한동대 총장, 오연천/서울대 총장) 다가오는 8월 23일(금) 서울 63컨벤션센터 별관 2층 그랜드볼룸에서 세계 여러 나라의 대학생 등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회 UNAI 대학생논문경시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대회의 주제는 『유엔 새천년 개발목표에 대한 평가 및 2015년 이후 전망』이다.
❏ 이번 대회에서는 유엔새천년개발목표(UN MDGs)와 관련된 12편의 대학생 논문들이 발표될 예정이며 이중 6편의 논문은 멕시코, 루마니아, 카자흐?뵀? 베트남, 일본 등 해외대학생들이 작성한 논문들이다. 대학생들의 시각에서 본 세계의 빈곤퇴치 방안과 개발목표 수립 방향은 유엔 등 국제기구의 논의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반기문 UN 사무총장이 폐회식에 참석하여 우수한 논문들에 대해 직접 시상하고 학생들을 격려할 예정이다. 우승을 거둔 1등,2등,3등 팀에게는 상장 및 각각 소정의 상금이 수여된다.
❏ 개회식에는 김영길 한동대학교 총장의 환영사, 임홍재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사무총장·윤태용 기획재정부 대외경제국 국장·마허 나세르(Maher Nasser) 유엔 아웃리치 분과 디렉터의 축사, 김성환 전(前) 외교통상부 장관의 기조연설이 예정되어 있다. 대회는 크게 3세션으로 이루어진다. 제 1세션 ‘소외계층의 경제활동 참여관련 MDGs 달성 평가와 전망’, 제 2세션 ‘환경 및 경제와 관련한 MDGs 달성 평가와 전망’, 제 3세션 ‘보건 및 교육과 관련한 MDGs 달성 평가와 전망’에서 각각 4팀의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각 팀은 대학생 3명, 지도교수 1명으로 구성되며 논문 발표가 종료된 이후 한국국제협력단(KOICA), 한국수출입은행, 자본시장연구원이 참여하는 국제개발협력설명회가 이어진다.
❏ 반기문 UN 사무총장은 “만약 교육이 없었다면 오늘날 나는 여기 있지 못했을 것이다. 교육은 더 나은 삶을 제공하고 우리 모두에게 밝은 미래를 선물할 것이다. 가난했던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경제 대국 중 하나가 될 수 있다고 상상하기 어려웠다. 사람들은 나에게 한국의 놀라운 성공의 비밀을 물어보는 데 나는 그때마다 말하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그것은 바로 교육이다”며 교육의 역할을 강조했다. 또한 “여러분들은 UN의 새천년개발목표(MDGs) 달성을 위해 협력하는 대학에서 참가했다. 한국, 일본, 멕시코, 카자흐스탄 등 각국의 대학생들이 이러한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대학들이 유엔의 임무를 지원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전 세계의 진정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여러분들이 유엔 아카데믹 임팩트와 함께 더 많은 일들을 하기를 바란다”며 참가자들을 격려하였다.
❏ 유엔 아카데믹 임팩트 한국협의회 공동회장 김영길 한동대 총장은 “이번 논문경시대회가 대학생들의 글로벌 현안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이해를 더하는 장이 되리라 믿는다.”며 “대한민국이 경제대국, 수출 강국, IT대국, 문화강국의 위상을 뛰어넘어 전 세계 어려운 나라들을 앞장서서 효과적이고 지속적으로 돕는 원조강국, 글로벌 인재 양성에 힘쓰는 교육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 유엔 아카데믹 임팩트는 지난 2001년 UN이 수립한 새천년개발계획(MDG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의 8개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전 세계 고등교육기관들이 교육과 연구를 통하여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반기문 사무총장이 2008년 제안해 2010년 정식 출범한 UN 산하의 글로벌 프로그램이다. UN이 교육을 통하여 빈곤, 인권 신장, 문맹 퇴치, 지속 가능한 개발, 분쟁 해소 등을 논의·해결하고 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전 세계 대학들과 손을 잡은 것이다. 이후 유엔 아카데믹 임팩트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사업 추진 및 국내 대학들의 연합과 참여 활성화를 위해 2012년 8월 유엔 아카데믹 임팩트 한국협의회가 설립되었다. 현재, 서울대, 한동대, 이화여대, 경희대 등 52개 대학이 가입해 있다.
❏ 본 대회는 유엔 아카데믹 임팩트, 외교부, 유엔 아카데믹임팩트 한국협의회, 유엔 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 주관이며, 기획재정부, 한국국제협력단(KOICA), 한국수출입은행, 자본시장연구원, 중앙일보, 풍산, 서울대학교, 한동대학교, 영산대학교, 한서대학교의 후원으로 개최된다.
한동대학교
기부문의
T. 054-260-1063
F. 054-260-1069
C. 010-9260-1063
M. sarang@handong.edu